인터넷과 네트워크
1)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은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와 대화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방문하려 할 때, 그들의 웹 브라우저(클라이언트)는 웹 서버에 웹 페이지의 내용을 요청해야 한다. 웹 서버는 그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요청을 해석하고, 요청된 페이지를 클라이언트에게 돌려보낸다. HTTP는 이 과정을 용이하게 해주며, 요청을 보내고 받는 표준적인 방법을 정해준다.
2) GET과 POST 요청
-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해 웹 페이지를 요청하면, 웹 브라우저는 GET 요청이라는 특정한 유형의 HTTP 요청을
보낸다. GET 요청은 단어 GET으로 시작되고 GET 뒤에는 요청 URI를 써주는데, 이것은 사용자가 요청한 웹 페이지의 경로를 나타낸니다. URI는 Uniform Resource Identifier의 약자입니다. /는 웹 페이지의 최상위 경로를 나타낸다. 여러분이 URL을 입력할 때 google.com/ 이나 facebook.com/ 처럼 / 뒤에 아무것도 명시하지 않는 것은 그 웹 페이지의 최 상위 경로임을 뜻한다.
웹 브라우저는 POST 요청이라는 다른 유형의 HTTP 요청을 보낼 수 있다. POST요청은 사용자가 온라인 폼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웹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
3) 상태코드
-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의 결과를 나타내는 상태 코드를 함께 보내주면서 응답한다. 서버에 사용자가 찾는 페이지가 있고 성공적으로 응답할 수 있으면, 서버는 상태 코드 200을 보낸다.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다는 의미이다. 찾을 수 없을 때에는 404와 함께 응답한다.

4) HTTPS / SSL
- HTTPS(HTTP Secure)는 HTTP와 보안 소켓 계층(SSL)이라고 불리는 기술을 결합한 인터넷 통신 프로토콜이다. SSL을 사용하는 웹사이트는 각각 인증서를 갖고 있는데 이것은 웹사이트에 접근하려는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인증서는 웹 브라우저에게 웹 서버로 보내진 요청을 어떻게 암호화했는지 말해주는 공개키를 포함한다. 웹 서버는 암호화된 요청을 해독하는 다른 키인 비밀키를 갖고 있다.
대칭키 VS 비대칭키 를 활용한 방식으로 웹브라우저가 보낸 데이터를 공개키(대중에게 공개된 키)로 암호화하고, 서버는 비대칭키로 복호화해서 데이터를 읽어낸다. 반대로 서버는 비대칭키로 암호화하고 브라우저는 공개키로 복호화한다.
아래는 내가 조아하는 얄코쌤으로
인터넷과 네트워크
1)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은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와 대화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사용자가 웹 페이지를 방문하려 할 때, 그들의 웹 브라우저(클라이언트)는 웹 서버에 웹 페이지의 내용을 요청해야 한다. 웹 서버는 그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요청을 해석하고, 요청된 페이지를 클라이언트에게 돌려보낸다. HTTP는 이 과정을 용이하게 해주며, 요청을 보내고 받는 표준적인 방법을 정해준다.
2) GET과 POST 요청
-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해 웹 페이지를 요청하면, 웹 브라우저는 GET 요청이라는 특정한 유형의 HTTP 요청을
보낸다. GET 요청은 단어 GET으로 시작되고 GET 뒤에는 요청 URI를 써주는데, 이것은 사용자가 요청한 웹 페이지의 경로를 나타낸니다. URI는 Uniform Resource Identifier의 약자입니다. /는 웹 페이지의 최상위 경로를 나타낸다. 여러분이 URL을 입력할 때 google.com/ 이나 facebook.com/ 처럼 / 뒤에 아무것도 명시하지 않는 것은 그 웹 페이지의 최 상위 경로임을 뜻한다.
웹 브라우저는 POST 요청이라는 다른 유형의 HTTP 요청을 보낼 수 있다. POST요청은 사용자가 온라인 폼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웹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된다.
3) 상태코드
-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의 결과를 나타내는 상태 코드를 함께 보내주면서 응답한다. 서버에 사용자가 찾는 페이지가 있고 성공적으로 응답할 수 있으면, 서버는 상태 코드 200을 보낸다.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다는 의미이다. 찾을 수 없을 때에는 404와 함께 응답한다.

4) HTTPS / SSL
- HTTPS(HTTP Secure)는 HTTP와 보안 소켓 계층(SSL)이라고 불리는 기술을 결합한 인터넷 통신 프로토콜이다. SSL을 사용하는 웹사이트는 각각 인증서를 갖고 있는데 이것은 웹사이트에 접근하려는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인증서는 웹 브라우저에게 웹 서버로 보내진 요청을 어떻게 암호화했는지 말해주는 공개키를 포함한다. 웹 서버는 암호화된 요청을 해독하는 다른 키인 비밀키를 갖고 있다.
대칭키 VS 비대칭키 를 활용한 방식으로 웹브라우저가 보낸 데이터를 공개키(대중에게 공개된 키)로 암호화하고, 서버는 비대칭키로 복호화해서 데이터를 읽어낸다. 반대로 서버는 비대칭키로 암호화하고 브라우저는 공개키로 복호화한다.
아래는 내가 조아하는 얄코쌤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