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TypeScript

● any 타입 어떤 타입이든 모두 가능한 타입이다. 근데, any타입을 활용하게 되면 타입스크립트의 기능들을 잘 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즉, 그냥 자바스크립트를 적는것과 다름이 없기 때문에 그닥 많이 활용하지 않은 타입이라고 한다. let daeun : any; let arr : any[]; ● union타입 function daeun( user : { name : string; age : number} ){ ~~~~~~ } 위와 같은 함수가 있다고 해보자, 매개변수는 객체를 받는데 매개변수 안에서 정해주니 가독성이 떨어져보이고, 또 타입정의가 자주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union 타입으로 빼서 써줄 수 있다. type User = { name : string; age : number; } funct..
● 튜플이란? 튜플이란,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일반 배열로 인식되지만 타입스크립트에서는 정해진 길이의 요소와 특수 배열을 입력해야지 오류가 뜨지 않는 것을 이야기한다. const person = { name : 'daeun', age : 19, hobbies : ['Sports', 'Cooking'], role : [2, 'front-developer'] } 만약에 위와 같은 객체가 있다고 했을 때, role에 있는 배열의 구조의 타입들을 명확하게 하고 싶을 땐 어떻게 해야할까? const person : { name : string; age : number; hobbies : string[]; role : [number, string]; } = { name : 'daeun', age : 19, hobbie..
김코린이
'Javascript/TypeScript'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